스마트스토어, 쿠팡
사업자등록, 과세 vs 면세 – 온라인 판매자는 무엇을 선택해야 할까?
jonbeo
2025. 9. 28. 09:15
반응형
안녕하세요 😊
스마트스토어, 쿠팡, 자사몰 같은 온라인 쇼핑몰을 시작하려고 사업자등록을 하다 보면
세무서에서 꼭 마주치는 질문이 있습니다.
👉 “과세 사업자로 하실 건가요, 면세 사업자로 하실 건가요?”
처음 사업을 시작하는 분들께는 이 차이가 낯설 수 있습니다.
오늘은 온라인 판매자가 꼭 알아야 할 과세 vs 면세 사업자의 차이를 정리해보겠습니다.
📍 1. 과세 사업자란?
- 매출에 대해 부가가치세(10%)를 신고·납부하는 사업자
- 세금계산서 발행 가능
- 매입 시 납부한 부가세를 환급받을 수 있음
예시:
- 상품을 110,000원에 판매 (부가세 포함)
- 매출 100,000원 + 부가세 10,000원 → 세무서 신고
👉 장점: 매입 세금 환급 가능, 거래 신뢰도 높음
👉 단점: 신고·납부 절차가 복잡
📍 2. 면세 사업자란?
- 부가세를 붙이지 않고, 신고·납부 의무도 없음
- 세금계산서 발행 불가 (계산서·영수증만 발급 가능)
- 매입 시 낸 부가세는 환급받을 수 없음
적용 업종 예시:
- 농수산물, 도서·신문, 학원, 의료업 등 법에서 정한 일부 업종만 해당
👉 즉, 일반 온라인 쇼핑몰(전자상거래업)은 면세 업종이 아님
→ 대부분 과세 사업자 등록을 해야 함
📍 3. 온라인 판매자는 어떤 걸 선택해야 할까?
- 스마트스토어, 쿠팡, 해외 구매대행 등 대부분의 상품 판매업 → 과세 사업자
- 판매하는 상품이 면세 품목(예: 도서, 일부 농산물)이라면 → 면세 가능
- 하지만 상품 구성이 다양하다면 결국 과세로 등록하는 게 안전
📍 4. 실무 사례
- 사례 A (과세 사업자)
- 스마트스토어에서 생활용품 판매
- 매입 시 낸 부가세 환급받아 초기 비용 절감 효과
- 사례 B (면세 업종)
- 온라인에서 전자책만 판매
- 면세 업종이므로 부가세 신고 필요 없음
- 대신 거래처와의 세금계산서 발행은 불가
📍 5. 자주 하는 실수
- 온라인 판매도 면세 가능한 줄 알고 잘못 신청 → 세무서에서 반려
- 초기 비용 절감하려고 면세로 등록했다가, 매입 부가세 환급 못 받아 손해
- 매출 규모 커졌는데 부가세 신고 준비 안 해서 불이익 발생
✅ 마무리
온라인 판매자는 원칙적으로 과세 사업자 등록을 해야 합니다.
- 과세: 부가세 신고·납부 필요하지만, 매입세액 환급 가능
- 면세: 특정 업종만 해당, 온라인 쇼핑몰 대부분은 해당 없음
👉 스마트스토어나 쿠팡에서 일반 상품을 판매하신다면,
과세 사업자로 등록하는 것이 정답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