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용한정보

웹 기획자가 꼭 알아야 할 도구 ✅ Figma, Adobe XD, Sketch 비교와 활용법

jonbeo 2025. 10. 19. 11:02
반응형

 

 

웹사이트나 앱을 만들 때,

바로 개발에 들어가지 않고 **와이어프레임(Wireframe)**과 **프로토타입(Prototype)**을 먼저 제작합니다.
이 과정은 프로젝트의 사용자 경험(UX) 설계, 화면 흐름 정의, 팀 커뮤니케이션에 핵심적입니다.


🧾 1. 와이어프레임 vs 프로토타입

  • 와이어프레임 (Wireframe)
    👉 흑백 또는 단순한 박스 형태로 화면의 기본 구조를 잡는 단계 (기능 중심)
  • 프로토타입 (Prototype)
    👉 실제 서비스처럼 클릭, 이동이 가능한 시뮬레이션 (UX 중심)

📌 정리하면, 와이어프레임은 설계도, 프로토타입은 **체험 가능한 목업(Mockup)**입니다.


🖌️ 2. 대표 도구 비교

✅ Figma (가장 인기 있는 도구)

  • 클라우드 기반 → 설치 필요 없음
  • 무료 요금제도 강력
  • 협업 기능 (동시 편집, 댓글)
  • 플러그인 풍부 (아이콘, 더미 텍스트 자동 생성 등)

📌 프론트엔드 개발자와 협업 최적 – CSS 속성 확인, 코드 추출 가능


🎨 Adobe XD

  • Adobe 생태계와 통합 (Photoshop, Illustrator와 연동)
  • 프로토타이핑 기능이 강력
  • 무료 플랜 제공 → 단, Figma에 비해 확장성 낮음
  • 애니메이션/전환 효과 설정 편리

📌 디자이너 친화적 – 비주얼 + 프로토타입 동시에 가능


🧩 Sketch

  • macOS 전용 (Windows 지원 ❌)
  • UI 디자인 업계 표준에서 시작
  • 플러그인 많지만 관리 어려움
  • 초기 학습이 쉽고 직관적

📌 맥 기반 디자이너가 많은 스타트업에서 여전히 사용됨


🔧 3. 실무 적용 예시

  1. 기획자: Figma에서 와이어프레임 제작 → 페이지 흐름 설계
  2. 디자이너: Figma/Adobe XD로 UI 디자인 + 프로토타입
  3. 개발자: Figma에서 CSS 속성, 크기, 색상, 간격 확인 → 코드 반영

👉 이런 협업 프로세스를 만들면 회의/설명 시간 절약 + 오류 감소 효과 💡


⚡ 4. 도구 선택 기준

  • 🧑‍🤝‍🧑 협업이 중요하다 → Figma 추천
  • 🎨 Adobe 툴을 이미 쓰고 있다 → Adobe XD
  • 🍎 맥 기반 디자이너 팀 → Sketch
  • 📦 빠른 목업/프리랜서 → Figma 무료 버전만으로 충분

📝 마무리 정리

  • 와이어프레임 = 레이아웃 설계
  • 프로토타입 = UX 테스트
  • Figma, Adobe XD, Sketch → 팀 상황에 맞게 선택
  • 최근 트렌드는 Figma 올인원 협업이 대세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