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ML, CSS

CSS 애니메이션 vs JavaScript 애니메이션 ✅ 차이점, 장단점, 실무 활용

jonbeo 2025. 10. 23. 10:11
반응형

 

 

애니메이션은 단순한 시각 효과를 넘어서 사용자 상호작용과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표현하는 중요한 요소입니다.
하지만 구현 방식에 따라 성능, 유지보수, 확장성에서 큰 차이가 발생합니다.


🧩 1. CSS 애니메이션

✅ 특징

  • transition, @keyframes을 활용
  • 브라우저 최적화 지원 → GPU 가속 덕분에 부드럽게 동작
  • 간단한 효과에 적합 (페이드 인/아웃, 슬라이드 등)

📌 예시: 버튼 호버 애니메이션

 
button {
  background: #007bff;
  transition: background 0.3s ease;
}

button:hover {
  background: #0056b3;
}

📌 예시: 로딩 애니메이션

 
@keyframes spin {
  to { transform: rotate(360deg); }
}

.loader {
  animation: spin 1s linear infinite;
}

⚙️ 2. JavaScript 애니메이션

✅ 특징

  • requestAnimationFrame 또는 GSAP 같은 라이브러리 활용
  • 복잡한 동작(물리 기반, 스크롤 연동, 상호작용)이 가능
  • 정밀한 제어 가능 (속도, 가속도, 타이밍, 이벤트 트리거)

📌 예시: JS로 박스 이동

 
const box = document.querySelector(".box");
let pos = 0;

function move() {
  pos += 2;
  box.style.transform = `translateX(${pos}px)`;
  if (pos < 300) requestAnimationFrame(move);
}

move();

📌 GSAP 예시

 
gsap.to(".box", { x: 300, duration: 2, ease: "bounce" });

⚖️ 3. CSS vs JS 비교표

항목 CSS 애니메이션 JavaScript 애니메이션
난이도 간단 비교적 복잡
성능 브라우저 최적화 (GPU 활용) JS 로직 복잡하면 성능 저하 가능
제어력 한정적 (시작, 반복, 종료) 세밀 제어 가능 (중단, 속도 조절, 상호작용)
적합한 예시 버튼 효과, 로딩 스피너 패럴랙스, 드래그/드롭, 게임 UI
확장성 낮음 높음

 


🎯 4. 실무 적용 가이드

  • CSS 애니메이션 추천 상황
    • 단순 전환 효과 (hover, fade, slide)
    • 반복적인 로딩 애니메이션
    • 작은 인터랙션 (버튼, 메뉴 오픈 등)
  • JavaScript 애니메이션 추천 상황
    • 사용자 입력과 연동 (스크롤, 드래그)
    • 복잡한 시퀀스 애니메이션
    • 물리 기반 효과 (탄성, 관성, 스프링 등)
    • 대규모 UI/UX 효과 (패럴랙스 스크롤링, 게임, 3D 효과)

📝 마무리 정리

  • CSS 애니메이션은 간단하고 성능 최적화된 효과에 적합
  • JavaScript 애니메이션은 복잡하고 상호작용이 많은 효과에 필수
  • 실무에서는 보통 CSS로 기본 효과 + JS 라이브러리(GSAP, Framer Motion)로 고급 효과 조합

👉 상황에 맞게 선택하는 것이 핵심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