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it
GitHub에서 Pull Request로 기여하기
jonbeo
2025. 4. 24. 09:57
✅ GitHub에서 Pull Request로 기여하기
– 실습으로 배우는 오픈소스 협업의 첫걸음
✨ 들어가며
GitHub에서 오픈소스 프로젝트에 기여하는 방법 중
가장 핵심적인 기능이 바로 Pull Request(PR) 에요.
“PR 좀 보내주세요~”라는 말, 한 번쯤 들어봤죠?
오늘은 초보자도 이해할 수 있도록
실습 중심으로 차근차근 Pull Request 과정을 알려드릴게요!
🧩 1. Pull Request란?
Pull Request는 내가 수정한 코드를 원래 프로젝트에 반영해달라고 요청하는 것!
- 오픈소스 프로젝트는 수많은 사람이 함께 작업하기 때문에,
직접 수정하는 게 아니라 "이런 수정 했는데 확인해줄래요?" 하고
리뷰를 요청하는 방식으로 기여해요.
🛠️ 2. Pull Request 실습 흐름 한눈에 보기
- 다른 사람의 저장소를 Fork 하기
- Fork한 저장소를 내 컴퓨터에 클론
- 수정 작업하기 (예: README 수정)
- 변경 내용을 커밋하고 푸시
- GitHub에서 Pull Request 생성!
🍴 3. 저장소 Fork 하기
- 기여하고 싶은 저장소로 이동
- 상단의 “Fork” 버튼 클릭
💻 4. 내 로컬 환경으로 복제 (Clone)
git clone https://github.com/내아이디/프로젝트이름.git
cd 프로젝트이름
✍️ 5. 코드 수정하기
예시로 README.md 파일에 한 줄 추가해볼게요!
✨ 이 프로젝트는 GitHub 학습용입니다.
💾 6. 커밋하고 GitHub에 푸시
git add .
git commit -m "README에 학습 문구 추가"
git push origin main
브랜치를 따로 만들었다면 main 대신 브랜치명 사용!
🔁 7. GitHub에서 Pull Request 생성하기
- GitHub에 접속하면 "Pull Request를 만들 수 있다"는 안내가 떠요
- “Compare & pull request” 버튼 클릭
- 제목과 설명을 작성하고 “Create pull request”
✅ 8. 리뷰 → 승인 → 병합!
- 저장소 관리자가 Pull Request 내용을 검토하고
승인되면 Merge를 통해 원본 저장소에 반영됩니다! - 거절되거나, 수정 요청이 올 수도 있어요.
그럴 땐 다시 고쳐서 커밋 → 자동 반영됩니다 🙆♀️
🎁 깃허브 초보자 팁!
- Pull Request 제목은 짧고 명확하게
예: 오타 수정, 사용법 문서 개선 - 설명에는 왜 수정했는지, 어떤 변경인지 써주는 게 좋아요
- 브랜치를 따로 만들어 작업하면 더 안전하게 협업할 수 있어요
🧭 마무리하며
처음에는 조금 복잡하게 느껴질 수 있지만,
한 번만 직접 해보면 “오픈소스 기여”의 벽이 확 낮아져요!
지금 배운 Pull Request 흐름은
앞으로 협업할 때 반드시 반복적으로 쓰게 되는 핵심 과정이에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