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GitHub Desktop으로 저장소 만들기와 복제하기
– 내 컴퓨터에서 깃허브까지, 첫 프로젝트를 시작하겠습니다!
🌱 들어가며
이제 GitHub Desktop도 설치했고, 로그인도 완료했죠?
그럼 본격적으로 저장소(Repository) 를 만들어서
내 프로젝트를 GitHub에 연결해볼 차례예요! 🎉
오늘은
✅ 내 컴퓨터(Local)에서 새 저장소 만들기
✅ GitHub에 올리기(Push)
✅ 다른 저장소를 복제해서 가져오기(Clone)
까지 실습해볼 거예요.
🆕 새 저장소 만들기 (로컬 → 깃허브)
1. GitHub Desktop 실행 후
→ 좌측 상단 File 메뉴 → New Repository 클릭
2. 저장소 정보 입력
- Name: 저장소 이름 (예: my-first-repo)
- Description: 설명은 선택
- Local Path: 내 컴퓨터에 저장될 위치
- Initialize this repository with a README: 체크 ✅
✅ 입력 후 Create Repository 클릭하면 저장소 생성 완료!
☁️ GitHub에 올리기 (Publish)
새 저장소를 만들었으면 이제 GitHub에도 올려야겠죠?
1. 우측 상단 Publish repository 버튼 클릭
2. GitHub에 올릴 이름, 공개/비공개 설정
- 원하면 이름만 바꾸고 Publish Repository 클릭
💡 이제 GitHub 웹사이트에 접속하면
방금 만든 저장소가 올라가 있는 걸 볼 수 있어요!
🔁 기존 저장소 복제하기 (Clone)
협업하거나 공개 프로젝트를 가져오고 싶을 때는
Clone 기능을 사용해요.
1. 상단 메뉴 → File → Clone Repository... 클릭
2. GitHub에 연결된 저장소 리스트가 보여요
→ 원하는 저장소 선택 후 Clone
✅ 내 컴퓨터에 복사되며 바로 작업 가능!
🧭 로컬 저장소 화면 구성
- 좌측 상단: 현재 저장소 이름
- 중간: 변경된 파일, 커밋 메시지 작성 영역
- 우측 상단: Push, Pull, History 등 주요 기능
💡 마무리하며
이제 GitHub Desktop으로
- 내 프로젝트를 만들고
- GitHub에 올리고
- 다른 사람의 프로젝트를 내 컴퓨터로 가져오는 방법까지
모두 익혔어요! 🙌
다음 포스팅에서는
👉 “GitHub Desktop으로 커밋과 푸시, 브랜치 만들기까지”
조금 더 실전적인 작업을 이어 보겠습니다! 🧪
'G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Hub Desktop이란? 설치부터 첫 실행까지 (0) | 2025.04.27 |
---|---|
GitHub에서 Pull Request로 기여하기 (1) | 2025.04.24 |
GitHub에서 프로젝트 협업 시작하기 (0) | 2025.04.23 |
.gitignore로 불필요한 파일 관리하기 (0) | 2025.04.21 |
Merge 충돌 해결하기 – 충돌이 났을 때 당황하지 마세요 (0) | 2025.04.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