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웹디자인기초 15

CSS로 만드는 간단한 반응형 네비게이션

웹사이트를 만들다 보면 화면 크기에 따라 메뉴 구조를 바꿔야 할 때가 있습니다.예를 들어, PC 화면에서는 가로로 펼쳐진 메뉴를 보여주고모바일 화면에서는 햄버거 버튼을 눌러야 메뉴가 펼쳐지도록 만드는 방식이죠.이번 포스팅에서는 HTML과 CSS만으로간단한 반응형 네비게이션을 만드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기본 구조 설계 (HTML) MySite 홈 소개 서비스 문의 ☰ ✅ 기본 스타일링 (CSS).nav { display: flex; justify-content: space-between; align-items: center; padding: 10px 20px; background: #333; color: white;}.menu { display: flex..

HTML, CSS 2025.06.30

transition + animation 조합으로 매끄러운 인터랙션 만들기

단독으로 사용해도 강력한 transition과 animation하지만 두 속성을 잘 조합하면 더 유연하고 세련된 UI 연출이 가능해집니다.이번 포스팅에서는 실제로 많이 쓰이는 예제를 통해 두 속성을 같이 활용하는 팁을 알려드리겠습니다. ✅ 기본 개념 먼저 짚고 가기transition→ 사용자의 행동에 반응하는 애니메이션 (hover, focus 등)animation→ 페이지 로딩과 동시에 자동으로 동작하는 애니메이션👉 두 속성은 동시에 선언 가능하지만, 작동 조건이 다르기 때문에 구분해서 써야 해요 ✅ 예제: 페이지 진입 시 fade-in + hover 시 scale-up.card { animation: fadeIn 1s ease-in; transition: transform 0.3s ease;}...

HTML, CSS 2025.06.29

grid-area & template-areas 완전정복 – 코드로 레이아웃 구조를 그려보자!

CSS Grid의 진짜 매력은HTML 요소의 순서와 관계없이,디자인 구조를 CSS 코드만으로 배치할 수 있다는 점이에요.특히 grid-area와 grid-template-areas를 쓰면코드로 마치 도면 그리듯 레이아웃을 설계할 수 있어요.이번 포스팅에서는 바로 그 기능을 실습 예제와 함께 보겠습니다! ✅ 기본 구성 예시 Header Sidebar Main Footer 🎨 CSS 스타일 구성.grid { display: grid; grid-template-areas: "header header" "sidebar main" "footer footer"; grid-template-columns: 200px 1fr; grid-template-rows: auto 1fr auto..

HTML, CSS 2025.06.06

gap 완전정복 – margin 없이 깔끔하게 간격 조절하는 법

Flexbox 레이아웃을 만들 때,아이템 사이 간격을 주려고 margin-right, margin-bottom… 복잡하게 썼던 경험 있죠?이젠 그럴 필요 없어요!gap 속성 하나면 모든 아이템 간 간격을 한 번에 정리할 수 있어요! ✅ 기본 문법.container { display: flex; gap: 20px;} gap은 아이템 사이의 공간만 설정해주는 속성이에요.바깥쪽 여백은 적용되지 않고,첫 요소와 마지막 요소 바깥은 건드리지 않아요! 📐 두 가지 버전으로 쓸 수 있어요gap: 20px; /* row + column 모두 20px */gap: 20px 10px; /* row 간격 20px, column 간격 10px */💡 Flexbox에선 주로 gap: 20px 단일값으로 ..

HTML, CSS 2025.06.03

align-items & align-self 완전정복 – 세로 정렬이 안 되는 이유, 여기서 해결된다!

Flexbox로 정렬을 하다 보면,가로 정렬은 잘 되는데 왜 세로 정렬은 자꾸 안 맞지?라고 생각한 적 한 번쯤 있으시죠?그럴 땐 주축이 아닌 교차축 정렬, 즉 align-items와 align-self를 확인해봐야 해요.이 두 속성이 Flexbox에서 세로 방향 정렬을 담당합니다.이번 포스팅에서는 이 두 속성의 차이와 활용법을 쉽게 정리해볼게요! ✅ align-items란?align-items는 모든 Flex 아이템들의 세로 정렬(교차축 정렬) 방식을 한 번에 지정해주는 속성이에요..container { display: flex; align-items: center;} 📦 align-items의 속성값값설명stretch기본값. 아이템 높이를 컨테이너에 맞춰 늘림flex-start위쪽 정렬 (교차..

HTML, CSS 2025.05.30

justify-content 완전정복 – 주축 정렬을 다루는 가장 중요한 속성

Flexbox를 쓰다 보면 "가운데 정렬은 어떻게 하지?", "아이템을 양쪽에 나눠서 정렬하고 싶어!" 이런 상황 자주 생기죠.그럴 때 꼭 써야 하는 속성이 바로 **justify-content**입니다.이 속성은 아이템을 주축(main axis) 방향으로 어떻게 정렬할지 결정하는 속성이에요.이번 포스팅에서는 justify-content의 다양한 값과 시각적인 차이를 비교하면서어떤 상황에서 어떤 정렬이 적합한지도 함께 정리해볼게요!✅ 기본 문법.container { display: flex; justify-content: center;} justify-content는 아이템들이 놓일 방향의 중심 정렬 방식을 설정합니다.주축이 가로(row)일 수도 있고, 세로(column)일 수도 있어요! 📦 사용 ..

HTML, CSS 2025.05.29

flex-direction 완전정복 – 방향만 바꿨는데 레이아웃이 확 달라진다!

Flexbox를 쓸 때 가장 먼저 설정해야 하는 속성이 있습니다.바로 flex-direction입니다.이 속성은 아이템들이 나열되는 기본 방향을 정해주는 역할을 합니다.그런데 이 방향 하나만 바꿨을 뿐인데, 전체 레이아웃이 완전히 달라져 보이는 경험, 해보신 적 있으시죠?이번 포스팅에서는 flex-direction의 기본 개념부터각 속성값이 실제로 어떻게 작동하는지 차근차근 살펴보겠습니다! ✅ 기본 문법.container { display: flex; flex-direction: row; /* 기본값 */} flex-direction은 Flexbox의 주축(main axis) 방향을 설정해주는 속성입니다.주축이 어디냐에 따라 justify-content, align-items 같은 정렬 방식도 달라져..

HTML, CSS 2025.05.28

display: flex 속성 완전정복 – 어떤 옵션이 무슨 역할을 할까?

이전 Flexbox 관련 포스팅에서는 Flexbox와 CSS Grid의 차이를 비교해보며언제 어떤 레이아웃을 쓰는 게 좋은지 알아봤습니다.이번엔 Flexbox 속성 하나하나에 대해 심화 학습을 시작해보려고 합니다.“flex로 정렬은 하긴 하는데, 정확히 무슨 속성이 뭘 하는 거였더라?”이런 고민이 있었다면 이번 flex 시리즈가 큰 도움이 될 거예요 :)✅ display: flex, 다시 정리해보기Flexbox의 핵심은 다음 두 가지로 나뉩니다:Flex 컨테이너: display: flex가 적용된 부모 요소Flex 아이템: 컨테이너 안에 있는 자식 요소들 A B C 🧩 Flex 컨테이너에서 쓸 수 있는 주요 속성들속성기능 요약flex-direction주축 방향을 설정 (가로 또는 세로)justi..

HTML, CSS 2025.05.27

CSS 변수(Custom Properties) – :root로 스타일을 똑똑하게 관리하기

CSS를 쓰다 보면 이런 생각이 들죠.“어? 이 색상 여러 군데에서 계속 반복되는데, 수정하려면 다 찾아서 바꿔야 하나?” 그럴 때 쓰는 게 바로 **CSS 변수(Custom Properties)**입니다.한 번만 선언해두면 어디서든 재사용할 수 있고, 유지보수도 엄청 쉬워져요!✅ 기본 문법:root { --main-color: #FF4200; --font-large: 24px;}h1 { color: var(--main-color); font-size: var(--font-large);} --변수이름으로 선언하고, var(--변수이름)으로 사용할 수 있어요.✅ :root는 어떤 역할?:root는 모든 요소에 적용되는 CSS의 가장 바깥 범위예요.여기서 선언하면 어디서든 접근 가능하다는 뜻이죠!✅ ..

HTML, CSS 2025.05.26

reset.css는 왜 써야 할까? – 브라우저 기본 스타일 초기화의 중요성

웹사이트를 만들어서 열어보면, 내가 설정하지 않았는데도 폰트 크기가 다르거나 마진이 들어간 경우를 본 적 있으시죠?이건 브라우저마다 **기본으로 적용하는 스타일(유저 에이전트 스타일 시트)**이 다르기 때문이에요.이 차이를 없애기 위해 사용하는 게 바로 reset.css입니다.✅ reset.css란?reset.css는 브라우저 기본 스타일을 없애고,모든 요소를 똑같은 기준에서 시작하게 만들어주는 CSS 파일이에요. 예를 들어, 대부분의 브라우저는 태그에 기본적으로 큰 폰트와 마진을 적용합니다.이걸 그대로 두면 브라우저마다 디자인이 달라 보이게 되죠.✅ 기본 reset 예시/* 가장 단순한 reset.css */* { margin: 0; padding: 0; box-sizing: border-box..

HTML, CSS 2025.05.2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