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프론트엔드기초 17

CSS로 만드는 간단한 반응형 네비게이션

웹사이트를 만들다 보면 화면 크기에 따라 메뉴 구조를 바꿔야 할 때가 있습니다.예를 들어, PC 화면에서는 가로로 펼쳐진 메뉴를 보여주고모바일 화면에서는 햄버거 버튼을 눌러야 메뉴가 펼쳐지도록 만드는 방식이죠.이번 포스팅에서는 HTML과 CSS만으로간단한 반응형 네비게이션을 만드는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기본 구조 설계 (HTML) MySite 홈 소개 서비스 문의 ☰ ✅ 기본 스타일링 (CSS).nav { display: flex; justify-content: space-between; align-items: center; padding: 10px 20px; background: #333; color: white;}.menu { display: flex..

HTML, CSS 2025.06.30

부드러운 전환 효과의 비밀, transition 완전 정복

웹사이트에서 버튼을 누를 때 색이 부드럽게 바뀌는 것,슬라이드 메뉴가 천천히 열리는 것처럼사용자가 편안하게 느끼는 변화에는 항상 transition이 숨어 있어요.이번 포스팅 에서는 transition 속성 하나로도어떤 효과까지 줄 수 있는지 실습 중심으로 소개해보겠습니다. ✅ transition 기본 문법transition: [속성] [지속시간] [타이밍함수] [지연시간]; 예를 들어:button { background-color: #f00; transition: background-color 0.3s ease-in-out;}속성: 어떤 CSS 속성에 효과를 줄 건지지속시간: 얼마나 천천히 바뀔지 (ex. 0.3초)타이밍 함수: 속도가 일정한지 가속되는지 등지연시간: 몇 초 뒤에 시작할지 (선택 사..

HTML, CSS 2025.06.27

자연스러운 웹 인터랙션! - transition vs animation 완전 정복하기

웹사이트에서 버튼을 눌렀을 때 부드럽게 색이 바뀌거나, 배너가 좌우로 움직이는 걸 본 적 있죠?이런 자연스러운 움직임을 만드는 데 쓰이는 두 가지 핵심 속성이 바로 transition과 animation입니다.이번 포스팅에서는 이 둘의 차이점과 각각 어떻게 사용하는지 예시와 함께 차근차근 살펴볼게요! ✅ transition이란?transition은 "변화가 일어날 때 부드럽게 전환되도록" 만들어주는 속성이에요.어떤 스타일 속성이 바뀔 때, 그 변화가 천천히, 자연스럽게 일어나게 하는 거죠..box { width: 100px; height: 100px; background-color: tomato; transition: all 0.3s ease;}.box:hover { background-colo..

HTML, CSS 2025.06.26

z-index 완전 이해하기 – 겹치는 요소의 순서를 제어하는 방법

웹사이트를 제작하다 보면, 박스나 요소들이 서로 겹치는 상황을 종종 만나게 됩니다.이럴 때 어떤 요소를 위에 보이게 할지 결정해주는 속성이 바로 z-index입니다.이번 포스팅에서는 z-index의 기본 개념부터 적용 조건, 실무에서 자주 겪는 문제까지 하나씩 차근차근 정리해보겠습니다. ✅ z-index란 무엇인가요?z-index는 겹쳐지는 요소들 사이의 순서를 지정하는 CSS 속성입니다.숫자가 높을수록 위쪽에 쌓여 사용자에게 먼저 보이게 됩니다..box1 { position: absolute; z-index: 1;}.box2 { position: absolute; z-index: 10;} 위 코드에서는 .box2가 .box1보다 위에 표시됩니다. ✅ z-index가 동작하려면?z-index는 단..

HTML, CSS 2025.06.24

실전 예제 – Grid로 반응형 카드형 갤러리 만들기

이제까지 Grid의 핵심 속성들과 고급 기능들을 배워봤다면,이번엔 그걸 활용해서 반응형 카드 갤러리 레이아웃을 직접 만들어볼 차례예요!auto-fit + minmax + gap + grid-template-columns이 조합으로 깔끔하고 유연한 그리드 레이아웃을 완성할 수 있어요. ✅ 목표 레이아웃가로폭이 넓을 땐 4~5열 카드좁아지면 자동으로 3열 → 2열 → 1열로 유연하게 변신카드 간격은 gap, 크기는 minmax()로 관리 🧱 HTML 구조 1 2 3 4 5 6 🎨 CSS 스타일.gallery { display: grid; grid-template-columns: repeat(auto-fit, minmax(220px, 1fr)); gap: 20px; padding: 20..

HTML, CSS 2025.06.09

grid-column & grid-row 완전정복 – 셀 병합의 마법

Grid 레이아웃의 가장 강력한 기능 중 하나는하나의 아이템이 여러 칸을 차지할 수 있다는 점이에요.Flexbox에서는 어렵거나 비효율적이었던“두 칸짜리 카드”, “헤더 전체 확장” 같은 걸Grid에서는 grid-column과 grid-row로 아주 쉽게 만들 수 있어요! ✅ 기본 문법.item { grid-column: 1 / 3; /* 1번 선부터 3번 선 전까지 → 2칸 차지 */} 속성설명 grid-column열 방향 병합grid-row행 방향 병합 🔁 단축 표기grid-column: span 2; /* 현재 위치에서 오른쪽 2칸 차지 */grid-row: span 3; /* 현재 위치에서 아래로 3칸 차지 */ → 시작 지점 모를 때는 span으로만 간단하게! 🧪 실습 예시 ..

HTML, CSS 2025.06.07

grid-area & template-areas 완전정복 – 코드로 레이아웃 구조를 그려보자!

CSS Grid의 진짜 매력은HTML 요소의 순서와 관계없이,디자인 구조를 CSS 코드만으로 배치할 수 있다는 점이에요.특히 grid-area와 grid-template-areas를 쓰면코드로 마치 도면 그리듯 레이아웃을 설계할 수 있어요.이번 포스팅에서는 바로 그 기능을 실습 예제와 함께 보겠습니다! ✅ 기본 구성 예시 Header Sidebar Main Footer 🎨 CSS 스타일 구성.grid { display: grid; grid-template-areas: "header header" "sidebar main" "footer footer"; grid-template-columns: 200px 1fr; grid-template-rows: auto 1fr auto..

HTML, CSS 2025.06.06

실전 예제 – Flexbox로 반응형 카드 UI 만들기

지금까지 Flexbox의 핵심 속성들을 하나씩 알아봤습니다.이번엔 그 모든 걸 한 번에 실습해보는 카드 UI 예제로 정리해볼게요!display: flexflex-wrapgapflex-basis, flex-growjustify-content, align-items전부 다 써보면서 유연하고 정돈된 레이아웃을 만들어봅니다. ✅ 완성될 레이아웃 미리 보기화면이 넓을 땐 카드가 3개씩 가로 정렬좁아지면 자동으로 줄바꿈 (flex-wrap)카드 사이 간격은 gap으로 관리각 카드는 일정한 크기로 나열되며, 여백에 따라 비율로 조정 (flex-basis, flex-grow) 🧱 HTML 구조 Card 1 Card 2 Card 3 Card 4 Card 5 🎨 CSS 스타일.card-wrap { disp..

HTML, CSS 2025.06.04

gap 완전정복 – margin 없이 깔끔하게 간격 조절하는 법

Flexbox 레이아웃을 만들 때,아이템 사이 간격을 주려고 margin-right, margin-bottom… 복잡하게 썼던 경험 있죠?이젠 그럴 필요 없어요!gap 속성 하나면 모든 아이템 간 간격을 한 번에 정리할 수 있어요! ✅ 기본 문법.container { display: flex; gap: 20px;} gap은 아이템 사이의 공간만 설정해주는 속성이에요.바깥쪽 여백은 적용되지 않고,첫 요소와 마지막 요소 바깥은 건드리지 않아요! 📐 두 가지 버전으로 쓸 수 있어요gap: 20px; /* row + column 모두 20px */gap: 20px 10px; /* row 간격 20px, column 간격 10px */💡 Flexbox에선 주로 gap: 20px 단일값으로 ..

HTML, CSS 2025.06.03

flex-grow, shrink, basis 완전정복 – 공간 나누기의 핵심 공식

Flexbox를 쓰다 보면 한 아이템은 꽉 차고, 다른 건 작게 줄어들고,비율대로 공간을 유연하게 나누고 싶을 때가 있어요.그럴 때 반드시 알아야 할 속성이 바로 이 3가지!flex-growflex-shrinkflex-basis이번 포스팅에서는 이 3개의 속성이 어떻게 조합되고,공간을 어떻게 계산해서 배치하는지 확실히 정리해보겠습니다!✅ 기본 문법.item { flex-grow: 1; flex-shrink: 1; flex-basis: 0;} 사실 이 3개는 하나로 합쳐서도 쓸 수 있어요!.item { flex: 1 1 0;} 1️⃣ flex-grow – 남는 공간을 얼마나 "더" 가져갈지.item { flex-grow: 1;} flex-grow는 컨테이너에 남는 여유 공간을 아이템끼리 나눌 때..

HTML, CSS 2025.06.0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