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안녕하세요 😊
요즘 온라인 창업 아이템으로 해외구매대행이 많은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직접 재고를 쌓지 않고, 해외 쇼핑몰에서 고객 대신 상품을 구매해주는 방식이라 진입 장벽이 낮기 때문이죠.
하지만 제대로 시작하려면 통관, 배송, 사업자등록 같은 절차를 잘 이해해야 합니다.
오늘은 해외구매대행 사업 준비 과정을 단계별로 정리해드리겠습니다.
📍 1. 해외구매대행이란?
- 고객이 주문 → 판매자가 해외 쇼핑몰에서 대신 구매 → 고객에게 배송
- 판매자는 상품 가격 + 구매대행 수수료를 받음
- 장점: 재고 부담이 없음
- 단점: 배송 지연, 통관 문제 발생 가능
📍 2. 사업자등록
- 업종: 전자상거래업, 도소매업으로 등록
- 필요한 서류: 신분증, 임대차계약서, 사업자등록 신청서
- 온라인 쇼핑몰 판매라면 보통 과세 사업자 선택이 일반적 (부가세 환급 가능)
📍 3. 통관 절차 이해
해외에서 상품이 들어올 때는 관세청 통관 절차를 거쳐야 합니다.
- 상품 구매 → 해외 현지 배송 대행지로 이동
- 항공/해운을 통해 한국으로 배송
- 관세청 통관
- 개인통관고유부호 필요 (고객별 발급)
- 품목에 따라 관세·부가세 부과
- 국내 택배사 배송 → 고객 수령
👉 통관이 지연되는 경우는 보통 서류 누락이나 금지 품목 때문입니다.
📍 4. 배송 대행지 선택
- 미국, 일본, 중국 등 주요 국가별 배송대행 업체 선택 가능
- 고려해야 할 사항: 배송료, 합산과세 방지 서비스, 통관 처리 경험
- 여러 고객 상품을 묶어 보내는 묶음배송 서비스를 제공하는지 확인
📍 5. 판매 채널 세팅
- 네이버 스마트스토어, 쿠팡, 자사몰 등
- 상품 등록 시 “구매대행 상품”임을 명시해야 함
- 배송기간은 7~14일 이상 걸릴 수 있으므로 정확히 표시
📍 6. 주의사항
- 금지 품목: 식품, 의약품, 일부 전자제품 등은 구매대행 제한
- 과세 기준: 미화 $150 초과 시 관·부가세 부과 (미국 직구 기준)
- 환불·교환: 배송 기간이 길어 CS(고객 응대)가 어려움 → 명확한 정책 마련 필요
- 전자상거래법 준수: 구매대행 사실, 배송 기간을 반드시 고지해야 함
✅ 마무리
해외구매대행은 재고 부담이 없어 창업 입문자에게 좋은 선택지지만,
통관, 배송, 세금을 모르면 분쟁이나 손해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정리:
- 사업자등록: 전자상거래업/도소매업
- 통관: 고객별 개인통관고유부호 필수
- 배송: 대행지 선택이 사업 성패 좌우
철저히 준비하면 안정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사업 모델이니,
시작 전에 꼭 이 가이드를 체크해보시길 바랍니다. 🚀
반응형
'해외구매대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식통관 vs 목록통관? 해외구매대행 셀러가 꼭 알아야 할 통관 차이와 주의사항 (0) | 2025.07.19 |
---|---|
해외구매대행 마진 계산 이렇게 하세요! 환율 반영 엑셀 팁 정리 (2) | 2025.07.18 |
미국 배대지 어디가 좋을까? 아이포터 vs 몰테일 실사용 비교 정리! (0) | 2025.07.17 |
아이허브 구매대행 실전 가이드! 가입부터 배송대행까지 흐름 한눈에 정리 (2) | 2025.07.16 |
아이허브(iHerb) 구매대행 직접 해보기! 배송대행지부터 결제까지 (1) | 2025.05.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