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CSS에서 가독성과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단축 속성이 매우 중요합니다.
특히 Flexbox와 Grid에서는 특정 속성들을 한 줄로 축약해서 작성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자주 사용되는 주요 단축 속성들을 상세하게 정리해보겠습니다! 🧠
📦 1. Flexbox 단축 속성
✅ flex
flex: [flex-grow] [flex-shrink] [flex-basis];
예시 | 의미 |
flex: 1; | 1 1 0%과 같음. 남는 공간 나눔 |
flex: 0 0 auto; | 기본 크기 유지, 늘어나거나 줄어들지 않음 |
flex: 1 1 30%; | 기본 30%, 필요 시 늘어나고 줄어듦 |
🔄 flex-flow
flex-flow: [flex-direction] [flex-wrap];
예시 | 의미 |
flex-flow: row wrap; | 가로 정렬 + 줄바꿈 허용 |
flex-flow: column nowrap; | 세로 정렬 + 줄바꿈 없음 |
기존에는 아래처럼 별도로 작성했어야 합니다:
flex-direction: row;
flex-wrap: wrap;
🧱 2. Grid 단축 속성
📐 grid-template
grid-template: [rows] / [columns];
예시 | 의미 |
grid-template: auto auto / 1fr 2fr; | 두 행, 두 열 (열 비율 1:2) |
grid-template: repeat(3, 1fr) / repeat(2, 1fr); | 3행 2열 동일 너비 |
📍 grid-area
grid-area: [row-start] / [column-start] / [row-end] / [column-end];
예시 | 의미 |
grid-area: 1 / 2 / 3 / 4; | 1행 2열에서 시작 → 3행 4열까지 차지 |
grid-area: header; | grid-template-areas에서 정의된 이름 사용 |
🔀 place-content, place-items, place-self
place-content: align-content justify-content;
place-items: align-items justify-items;
place-self: align-self justify-self;
예시 | 의미 |
place-content: center; | 상하좌우 중앙 정렬 |
place-items: start end; | 수직 상단 정렬, 수평 우측 정렬 |
🧠 3. 실무 적용 팁
- flex-flow, place-content 같은 단축 속성은 CSS 코드의 길이를 줄이고 가독성을 높여줍니다.
- Flexbox에서는 flex, flex-flow 단축 속성을 적절히 활용하면 반응형 레이아웃 구성이 쉬워집니다.
- Grid에서는 grid-template, grid-area를 적절히 사용하면 복잡한 대시보드, 갤러리 레이아웃을 짧은 코드로 구성할 수 있습니다.
📝 마무리 정리
단축 속성 | 풀 버전 | 주 용도 |
flex | grow shrink basis | 요소의 크기 제어 |
flex-flow | direction + wrap | 방향 + 줄바꿈 설정 |
grid-template | rows / columns | 그리드 구조 지정 |
grid-area | 위치 영역 설정 | 격자 배치 |
place-* | 정렬 속성 | 중앙 정렬 등 UI 정리 |
👉 단축 속성을 잘 활용하면 코드도 짧아지고, 프로젝트 유지보수도 훨씬 쉬워집니다!
반응형
'HTML, CSS' 카테고리의 다른 글
HTML5 시맨틱 태그 정리 💡 section, article, aside, nav, header, footer 차이점과 예제 (0) | 2025.10.10 |
---|---|
SCSS @mixin 활용법 총정리! 실무에서 자주 쓰는 패턴까지 완벽 해설 (0) | 2025.10.06 |
Flexbox vs Grid 완전 정복! 언제 어떤 레이아웃을 써야 할까? (0) | 2025.10.04 |
<label> 태그의 역할과 올바른 사용법 (0) | 2025.10.03 |
CSS 애니메이션 vs 트랜지션 – 차이와 활용법 완벽 정리 (0) | 2025.09.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