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Git은 매우 유연한 버전 관리 시스템입니다.
하지만 프로젝트가 커질수록 브랜치를 아무렇게나 사용하면 코드가 꼬이고 협업이 어려워지죠.
그래서 실무에서는 브랜치 전략을 세워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두 가지 대표 전략인 Git Flow와 GitHub Flow를 비교해보겠습니다.
🌳 1. Git Flow란?
Vincent Driessen이 제안한 전략으로, 복잡한 릴리즈 관리에 적합합니다.
브랜치 구조가 체계적이며 릴리즈 주기가 긴 기업형 프로젝트에서 자주 사용됩니다.
📁 주요 브랜치 구조
- master : 실제 배포되는 코드 (Read-only)
- develop : 개발 브랜치, 기능 병합의 중심
- feature/* : 새로운 기능 개발
- release/* : 릴리즈 준비
- hotfix/* : 긴급 버그 수정
📌 흐름 예시
- develop에서 feature/login 브랜치 생성
- 작업 후 develop으로 병합
- 릴리즈 전 release/1.0.0 생성 → 테스트
- 완료 후 master와 develop에 병합
✅ 장점
- 체계적인 릴리즈 및 버그 관리
- QA/운영팀 분리 작업 가능
❌ 단점
- 브랜치가 많고 복잡
- 릴리즈가 느린 환경에 적합 (스타트업에는 과함)
🪴 2. GitHub Flow란?
GitHub에서 제안한 간단한 전략으로, 빠른 배포와 CI/CD 환경에 최적화되어 있습니다.
📁 주요 브랜치 구조
- main (또는 master): 항상 배포 가능한 상태
- feature/*: 이슈 단위로 기능 개발 → Pull Request
📌 흐름 예시
- main에서 feature/signup 브랜치 생성
- 작업 완료 후 PR(Pull Request) 생성
- 코드 리뷰 → 머지 → 배포
✅ 장점
- 간단하고 빠름
- CI/CD 자동화에 적합
- 작은 팀 또는 애자일 환경에 최적
❌ 단점
- 대규모 프로젝트에는 기능 통합 및 릴리즈 준비 과정이 부족
⚖️ 3. 비교표
항목 | Git Flow | GitHub Flow |
복잡도 | 🔺 높음 | 🔻 낮음 |
브랜치 수 | 많음 | 적음 |
배포 주기 | 느림 (정기) | 빠름 (수시) |
적합 환경 | 대기업, 장기 프로젝트 | 스타트업, 빠른 개발 환경 |
CI/CD 연동 | 기본 제공 안됨 | 매우 적합 |
🧠 4. 실무 적용 팁
- 🏢 기업/기관 시스템 → Git Flow + CI도입
- 🧑💻 스타트업/개인 프로젝트 → GitHub Flow + Pull Request
- 📦 GitHub Flow는 단순한 구조 + 자동 배포와 궁합이 좋습니다
- 📅 릴리즈 노트를 관리한다면 Git Flow가 유리할 수 있습니다
📝 마무리 정리
- Git 전략은 팀 상황, 배포 주기, 프로젝트 규모에 따라 선택해야 합니다.
- 복잡한 협업 구조에는 Git Flow, 빠른 배포와 CI가 필요하다면 GitHub Flow
- 무엇보다 팀 내 규칙을 정하고 일관성 있게 운영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반응형
'G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 브랜치 전략 – Git Flow vs Trunk Based 차이와 선택 가이드 (0) | 2025.10.01 |
---|---|
GitHub Actions 완전 기초! 자동화부터 배포까지 한눈에 배우기 (0) | 2025.07.15 |
Git rebase, 이렇게 이해하면 쉽다! merge와의 차이점과 시각적 흐름 정리 (0) | 2025.07.14 |
Git 실수했을 때 되돌리는 법! reset, revert, stash 차이와 사용법 완전 정리 (0) | 2025.07.13 |
Git 협업, 브랜치 전략이 중요하다! Git Flow vs GitHub Flow 쉽게 비교하기 (0) | 2025.07.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