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CSS에서 크기 단위를 어떻게 쓰느냐에 따라 반응형 디자인, 접근성, 유지보수성이 크게 달라집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가장 많이 쓰이는 단위들을 비교하고, 실무에서의 활용 팁을 알려드립니다.
🧩 1. 절대 단위 vs 상대 단위
- 절대 단위: px (픽셀 기준 → 고정 크기)
 - 상대 단위: em, rem, %, vh, vw (상황에 따라 달라짐)
 
📌 2. px (픽셀)
.box { font-size: 16px; }
- 고정 크기 (화면 크기와 무관)
 - 장점: 직관적, 예측 가능
 - 단점: 반응형/접근성에서 불리
 
📌 3. em (부모 요소 기준)
.parent { font-size: 16px; }
.child { font-size: 2em; } /* 부모의 16px × 2 = 32px */
- 부모 요소의 font-size 기준
 - 단점: 중첩되면 계산이 꼬일 수 있음
 
📌 4. rem (root em)
html { font-size: 16px; }
.title { font-size: 2rem; } /* 16px × 2 = 32px */
- 루트(html) 기준
 - 중첩 영향 없음 → 실무에서 가장 많이 사용됨
 
📌 5. % (퍼센트)
.container { width: 80%; }
- 부모 요소 크기에 비례
 - 반응형 레이아웃에서 자주 활용
 
📌 6. vh, vw (뷰포트 단위)
.fullscreen {
  width: 100vw;  /* 뷰포트 너비 100% */
  height: 100vh; /* 뷰포트 높이 100% */
}
- 뷰포트(Viewport) 크기 기준
 - 모바일 반응형 레이아웃에서 강력
 - 예: 풀스크린 배너, 섹션
 
⚡ 7. 실무 활용 전략
- ✅ 글자 크기: rem (접근성 + 일관성)
 - ✅ 버튼/카드 크기: %, em (부모 기준으로 유연)
 - ✅ 전체 레이아웃: %, vh, vw
 - ✅ 픽셀 단위로 고정해야 하는 경우만 px
 
📝 마무리 정리
- px → 고정값 (단순한 요소에 사용)
 - em → 부모 기준 (상황 따라 크기 변동)
 - rem → 루트 기준 (가장 권장)
 - % → 부모 요소 비율
 - vh/vw → 뷰포트 기준 (반응형 디자인 최적)
 
👉 단위를 혼합해서 쓰되, 기본은 rem + % + vh/vw 조합을 추천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