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기초 Git 명령어로 GitHub에 연결하기
– 로컬에서 GitHub까지, 입문자도 쉽게 따라하는 실습 가이드
GitHub에 저장소는 만들었는데,
"이제 내 컴퓨터에서 작업한 파일을 어떻게 연결하지?"
처음에는 막막하죠 😅
걱정 마세요!
오늘은 기초 Git 명령어를 사용해서,
내 로컬 폴더를 GitHub 저장소와 연결하는 법을 아주 쉽게 알려드릴게요 😊
1️⃣ Git 설치 확인하기
먼저 Git이 설치되어 있는지 확인해볼게요!
터미널(명령 프롬프트)에 아래 명령어를 입력하세요:
git --version

Git이 설치되지 않았다면 Git 공식 홈페이지에서 설치해주세요!
📍[잠깐!!] 터미널이 뭐예요? Git Bash는 또 뭐죠?
처음 Git을 배우다 보면 “터미널을 열고 명령어를 입력하세요” 라는 말을 자주 봐요.
그런데... 터미널이 도대체 뭔가요? 싶은 분들도 많으시죠?
💬 쉽게 말하면,
터미널은 컴퓨터에게 직접 명령을 내리는 창이에요!
마우스를 클릭하는 대신, 글자로 명령을 입력해서 작업을 처리하는 도구라고 생각하면 돼요.
🧱 Git을 설치하면 Git Bash라는 터미널이 같이 설치돼요!
Windows 사용자의 경우, Git을 설치하면 자동으로 “Git Bash” 라는 터미널이 함께 설치돼요.
Git Bash는 Git 명령어를 입력할 수 있는 전용 명령창이고,
리눅스 스타일의 명령어도 쓸 수 있어서 Git을 배우는 데 딱 좋아요.
✅ Git Bash 실행 방법 (Windows 기준)
- Git 설치가 끝났다면
시작 버튼을 클릭하고
“Git Bash” 를 검색해 실행해 보세요! - 까만 배경의 창이 하나 뜰 거예요.
여기가 바로 우리가 명령어를 입력할 터미널이에요!
📍그래서 이 포스팅에서 사용하는 터미널은?
👇 Git Bash 기준으로 설명할게요!
Visual Studio Code 같은 개발 도구 없이도
Git만 설치되어 있으면 누구나 따라할 수 있어요.
💡 참고:
"터미널"이란 VS Code의 내장 터미널, Git Bash, 또는 운영체제 기본 터미널을 뜻해요.
명령어 입력이 가능한 창이면 어떤 걸 사용해도 괜찮답니다!
🔍 정리하면!
Git 명령어가 실행될 수 있는 터미널이면 무엇이든 OK!
VS Code 터미널이든, Git Bash든, macOS 기본 터미널이든 OK!
2️⃣ 사용자 정보 설정하기
Git은 "누가 작업했는지"를 기록하기 때문에
이름과 이메일을 등록해야 해요.
git config --global user.name "내 이름"
git config --global user.email "내 이메일"
예시:
git config --global user.name "haneul"
git config --global user.email "haneul@example.com"
3️⃣ 내 폴더를 Git 저장소로 만들기
이제 GitHub에 연결할 프로젝트 폴더를 선택하세요.
그 폴더 안에서 아래 명령어를 입력합니다:
git init
이 명령어는 "여기서부터 Git으로 관리할게요!" 라고 선언하는 거예요.
4️⃣ GitHub 저장소와 연결하기
이제 GitHub에서 생성한 저장소의 주소를 복사한 뒤,
아래 명령어로 연결하세요:
git remote add origin https://github.com/사용자명/저장소명.git
예시:
git remote add origin https://github.com/haneul-dev/my-project.git
5️⃣ 파일 등록하고 푸시(Push)하기
이제 실제 파일을 GitHub에 업로드해볼게요!
git add .
git commit -m "첫 커밋"
git push -u origin main
💡 만약 브랜치 이름이 main이 아니라 master라면 main을 master로 바꿔주세요.
6️⃣ 자주 나오는 오류 & 해결법
❌ 오류: fatal: remote origin already exists
👉 해결:
git remote remove origin
그 다음 다시 git remote add origin ... 하면 됩니다!
✅ 마무리하며
여기까지 따라오셨다면,
이제 내 컴퓨터에서 만든 프로젝트를
GitHub에 직접 연결하고 업로드할 수 있게 된 거예요! 🙌
처음엔 명령어가 낯설 수 있지만,
몇 번 해보면 어렵지 않아요~~ 😄
'G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Hub Pages로 정적 웹사이트 배포하기 (2) | 2025.04.19 |
---|---|
GitHub에서 Pull Request 보내기 – 협업의 첫 걸음 (0) | 2025.04.18 |
README.md에 이미지, 링크, 뱃지 넣는 방법 (0) | 2025.04.16 |
GitHub README.md 작성법 – 나만의 저장소를 소개하는 방법! (0) | 2025.04.15 |
GitHub에 파일 업로드하는 방법 – 처음 만든 저장소에 코드 올려보기 (0) | 2025.04.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