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공개로 만든 저장소, 비공개로 바꾸고 싶다면 이렇게 하세요!
✅ Public과 Private의 차이점 먼저 알아볼까요?
구분 | Public 저장소 | Private 저장소 |
접근 권한 | 누구나 접근 가능 | 초대된 사람만 접근 가능 |
검색 노출 | GitHub 검색 및 Google 검색 가능 | 검색에 노출되지 않음 |
오픈소스 공유 | 누구나 포크, 이슈, PR 가능 | 초대한 사람만 협업 가능 |
보안 | 민감 정보 노출 주의 필요 | 민감한 내용 보호에 유리 |
💡 Tip:
팀 협업이나 오픈소스를 위한 저장소는 Public이 적합하지만,
개인 프로젝트나 민감한 정보를 담고 있는 경우에는 Private으로 설정하는 게 좋아요.
🔁 Public 저장소를 Private으로 바꾸는 방법
- GitHub에 로그인 후, 비공개로 바꾸고 싶은 저장소로 이동해요.
👉 GitHub 접속 바로가기 - 저장소 상단의 메뉴에서 [Settings] 탭을 클릭합니다.
- [Danger Zone] 섹션으로 스크롤을 내립니.
- [Change repository visibility] 버튼을 클릭합니다.
- 팝업창에서 [Make private] 버튼을 클릭하고, 확인을 위해 저장소 이름을 입력한 뒤 진행합니다.
⚠️ 주의사항!
- 저장소를 Private으로 바꾸면 기존에 저장소를 포크했거나 팔로우하던 사용자들은 더 이상 접근할 수 없어요.
- GitHub Free 요금제에서도 Private 저장소를 만들 수 있지만, 협업 인원 제한이 있을 수 있으니 요금제 비교도 참고해보세요!
🧩 마무리하며…
처음엔 Public으로 열어두는 게 익숙할 수 있지만, 프로젝트 성격에 따라 공개 여부는 언제든지 바꿀 수 있습니다.
특히 실수로 비공개로 해야 할 저장소를 Public으로 만들었다면, 오늘 배운 방법으로 빠르게 전환해보세요!
반응형
'G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과 GitHub 연동하기 (커밋과 푸시 실습) (0) | 2025.05.18 |
---|---|
GitHub에서 프로젝트 관리하기 – Projects와 Milestones 완전 정복! (0) | 2025.05.12 |
협업에서 유용한 GitHub 기능들 (1) | 2025.05.10 |
.gitignore 파일이란? (0) | 2025.05.09 |
GitHub Pages로 정적 웹사이트 배포하기 (0) | 2025.05.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