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1. Git 설치 여부 확인
먼저 Git이 설치되어 있어야 VS Code에서도 Git을 사용할 수 있어요!
- VS Code 터미널 열기 (단축키: `Ctrl + ``)
- 아래 명령어 입력
git --version
설치되어 있다면 버전 정보가 출력됩니다. 없다면 Git 공식 사이트에서 설치하세요.
2. GitHub 계정 만들기 (이미 있다면 생략 가능)
- https://github.com/ 접속
- 우측 상단 Sign up 클릭
- 이메일, 비밀번호 입력 후 계정 생성
3. 로컬 Git 저장소 만들기
- VS Code에서 만든 웹 프로젝트 폴더 열기
- 터미널에서 다음 명령어 실행
git init
3. 변경된 파일을 Git이 추적할 수 있도록 스테이징
git add .
4. 커밋 메시지와 함께 첫 커밋
git commit -m "처음 커밋"
4. GitHub 저장소 생성하기
- GitHub 사이트에서 로그인 후
New repository 클릭 - 저장소 이름 입력 → Create repository 클릭
5. 로컬 저장소와 GitHub 저장소 연결하기
터미널에 다음 명령어 입력:
git remote add origin [복사한 GitHub 저장소 주소]
그 다음, 최초 푸시 명령어:
git push -u origin main
6. VS Code로 Git 사용하기 (GUI 방식)
VS Code 왼쪽 사이드바의 소스 제어 아이콘 (🔃) 클릭
- 변경사항 입력 → ✔ 버튼으로 커밋
- 푸시 아이콘 클릭으로 GitHub에 바로 반영 가능!
7. 마무리 한 마디
이제 VS Code에서 만든 프로젝트를 Git으로 버전 관리하고, GitHub에 올릴 수 있어요!
코드를 저장하고, 협업할 준비가 된 거예요 💪
앞으로는 커밋 → 푸시가 자연스러운 루틴이 될 거예요!
반응형
'G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GitHub 저장소를 Public에서 Private으로 바꾸는 방법 (0) | 2025.05.17 |
---|---|
GitHub에서 프로젝트 관리하기 – Projects와 Milestones 완전 정복! (0) | 2025.05.12 |
협업에서 유용한 GitHub 기능들 (1) | 2025.05.10 |
.gitignore 파일이란? (0) | 2025.05.09 |
GitHub Pages로 정적 웹사이트 배포하기 (0) | 2025.05.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