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용한정보

오픈소스 라이선스 종류 완벽 정리 (MIT vs GPL vs Apache)

jonbeo 2025. 7. 29. 11:07
반응형

 

 

개발자든 기획자든, 오픈소스를 쓸 일이 많아졌습니다.
그런데 이런 문장이 나오면…

“이거 MIT 라이선스야. 아무나 써도 돼.”
“GPL은 상업적으로 못 쓸 수도 있어.”

 

...정확히 무슨 뜻인지 아시나요?

이번 글에서는
✔️ 대표적인 오픈소스 라이선스 3종(MIT, GPL, Apache)의 차이
✔️ 어떤 상황에서 주의해야 하는지
✔️ 저작권/상업적 사용에 미치는 영향
을 쉽게 설명해드리겠습니다.


 

✅ 1. 오픈소스 라이선스란?

  • 소스코드를 공개하고
  • 누구든지 자유롭게 사용/수정/배포할 수 있도록
    법적 조건을 명시한 문서입니다.

 

✅ 2. 주요 라이선스 간단 비교표

항목 MIT GPL Apache 2.0
상업적 사용 가능 가능 가능
수정/재배포 가능 가능 가능
출처 표기 필요 필요 필요
소스 공개 의무 없음 있음 (2차 제작물 포함) 없음
특허권 보호 없음 없음 있음

 


 

✅ 3. 각 라이선스 핵심 요약

🔹 MIT License

  • 가장 유연하고 자유로운 라이선스
  • 출처만 표기하면 상업적 이용, 수정, 재배포 모두 가능
  • 기업/스타트업들이 가장 선호함

🔹 GPL License (GNU General Public License)

  • 수정한 소스도 같은 GPL로 공개해야 함 (바이러스성 확산)
  • 오픈소스 생태계 보호에는 유리, 기업용에는 부담될 수 있음
  • 대표 예: WordPress, Linux 커널

🔹 Apache 2.0 License

  • MIT와 비슷하지만, 특허권 보호 조항 포함
  • 기업/기관에서 안정적으로 사용 가능
  • 대표 예: Apache 서버, Android OS

 

✅ 4. 어떤 걸 쓰는 게 좋을까?

목적 추천 라이선스
가볍게 참고하거나 수정해서 사용 MIT
오픈소스 공유 문화 강화 / 공공 목적 GPL
기업에서도 법적 안정성 중요 Apache 2.0
 

✔️ 오픈소스를 이용한 서비스 제작 예정이라면
→ MIT 또는 Apache가 부담이 적습니다.

✔️ 프로젝트를 오픈소스로 배포할 경우
→ GPL은 더 강한 공유 철학을 요구합니다.


 

✅ 5. 주의할 점

  • 라이선스를 무시한 채 상업적으로 사용 시 법적 문제 발생 가능
  • 코드 복사/붙여넣기 전, 라이선스 유형 확인 필수
  • GPL은 ‘링크’하거나 ‘함께 배포’할 때도 주의 필요

 

✅ 마무리하며

오픈소스는 누구나 쓸 수 있지만,
**“어떻게 써야 하는지”**는 분명한 룰이 있습니다.

오늘 소개한 MIT / GPL / Apache 차이만 정확히 이해해도
웬만한 오픈소스 활용은 문제 없습니다.

✔️ 코드 재사용, 템플릿 활용, 라이브러리 도입 시 꼭 확인하세요!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