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GitHub 저장소 만들기 – 나만의 프로젝트 시작하기
GitHub 가입까지 잘 마치셨다면, 이제 본격적으로 나만의 저장소(Repository) 를 만들어 볼 차례입니다.
저장소는 내가 만든 코드나 파일을 정리해서 보관할 수 있는 온라인 폴더 같은 개념입니다 :)
1️⃣ 저장소 만들기 버튼 클릭하기
GitHub에 로그인한 후, 우측 상단에 있는 ➕ 버튼을 클릭합니다.
거기서 “New repository” 를 선택하면 새로운 저장소를 만들 수 있습니다.
2️⃣ 저장소 정보 입력하기
새 저장소를 만들기 위해 아래 항목들을 입력 해야합니다:
- Repository name (필수): 저장소 이름 입력. 프로젝트가 있다 프로젝트명을 영문으로 입력 하면 됩니다.
예: my-first-repo - Description (선택): 이 저장소가 어떤 프로젝트인지 간단히 설명하는 영역 입니다.
예: 처음 만들어보는 GitHub 저장소입니다. - Public / Private:
- Public: 누구나 내 저장소를 볼 수 있어요.
- Private: 나만 볼 수 있어요. (비공개 프로젝트에 좋아요)
- ✅ Initialize this repository with a README
체크하면 저장소에 기본 파일인 README가 자동으로 생성돼요. 처음이라면 꼭 체크하는 걸 추천드려요! - 그외 Add .gitignore, Choose a license는 기본 설정으로 사용하시면 됩니다.
설정이 필요한 경우만 사용하시면 되요 :)
3️⃣ 저장소 만들기 (Create repository)
입력을 다 했다면 아래쪽에 있는 [Create repository] 버튼을 클릭하면 저장소 생성 완료!
4️⃣ 저장소 메인 화면 살펴보기
저장소가 만들어지면 바로 새로운 화면으로 이동하게 됩니다.
여기서는:
- README 파일 확인
- 코드 업로드
- Issue, Pull request 등의 탭
등 다양한 기능을 볼 수 있어요.
✅ 마무리하며
이제 나만의 GitHub 저장소가 완성됐어요! 🎉
여기다가 코드도 올리고, 설명도 달고, 다른 사람과 협업도 할 수 있게 된 거예요.
GitHub는 처음엔 어려워 보여도 하나씩 익혀가다 보면 별거 없습니다~
다음 GitHub 포스팅은 파일 업로드하는 방법 을 설명하려고 합니다.
궁금한 점이나 어려운 부분이 있다면 댓글 주세요~ 답변이 늦을 수 있지만 문제 해결에 도움을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
'G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기초 Git 명령어로 GitHub에 연결하기 (0) | 2025.04.17 |
---|---|
README.md에 이미지, 링크, 뱃지 넣는 방법 (0) | 2025.04.16 |
GitHub README.md 작성법 – 나만의 저장소를 소개하는 방법! (0) | 2025.04.15 |
GitHub에 파일 업로드하는 방법 – 처음 만든 저장소에 코드 올려보기 (0) | 2025.04.13 |
GitHub란? 개발자들의 협업 필수 툴! (0) | 2025.04.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