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분류 전체보기 236

해외구매대행 마진 계산 이렇게 하세요! 환율 반영 엑셀 팁 정리

iHerb, Amazon 등 해외 쇼핑몰에서 물건을 구매해 판매하는 경우가장 중요한 건 실제 마진이 얼마나 남는지 계산하는 것입니다.이번 포스팅에서는실시간 환율 반영제품 원가 + 배송비 계산마진율 자동 계산을 하나의 엑셀로 간단히 처리할 수 있는 엑셀 구성 예시와 계산 팁을 소개해드리겠습니다! ✅ 1. 해외 구매대행에서 마진 계산이 중요한 이유환율은 매일 달라지고배대지 배송비도 건마다 다르고카드 결제 수수료까지 고려해야정확한 마진율을 계산하지 않으면 손해를 볼 수 있습니다. ✅ 2. 엑셀 구성 예시항목설명예시상품명판매할 제품 이름Omega 3달러 상품가iHerb 기준 가격$12.00환율1달러 기준 환율1,360카드 수수료보통 1.5~2%1.02 (2% 반영)원가(₩)달러가 × 환율 × 수수료자동계산배대지..

해외구매대행 2025.07.18

미국 배대지 어디가 좋을까? 아이포터 vs 몰테일 실사용 비교 정리!

**배대지(배송대행지)**는 해외 쇼핑몰에서 한국으로 직접 배송되지 않거나,직배송보다 더 저렴하게 보내고 싶을 때 필수로 쓰는 서비스입니다.그중에서 많이 쓰는 대표 배대지는👉 아이포터(iporter)👉 몰테일(malltail)이번 포스팅에서는두 배대지의 장단점, 실제 사용 흐름, 셀러 기준 선택 팁까지 정리해보겠습니! ✅ 1. 배대지란 무엇인가?해외 쇼핑몰에서 구매한 상품을 **미국 내 중간 주소(=배대지)**로 보내고그 배대지에서 다시 한국으로 보내주는 시스템입니다. ✔️ 장점배송비 절감통관 처리 자동화여러 상품 합배송 가능 ✅ 2. 아이포터 vs 몰테일 비교표항목아이포터몰테일가입 절차간편간편주소지 수미국 3개(OR, NJ, CA)미국 1~2개(기본 NJ)배송비저렴한 편 (무게 기준)다소 비쌈 (부..

해외구매대행 2025.07.17

아이허브 구매대행 실전 가이드! 가입부터 배송대행까지 흐름 한눈에 정리

해외구매대행은 국내에 없는 제품을 대신 구매해주는 구조입니다.그중에서도 **iHerb(아이허브)**는 건강기능식품, 비타민, 유기농 제품 등으로많은 셀러들이 구매대행에 활용하고 있는 대표 쇼핑몰입니다.이번 포스팅 에서는iHerb 가입상품 선택 및 구매배송대행지 이용까지 한눈에 흐름을 따라가면서실제로 구매대행을 어떻게 진행하는지 소개해드리겠습니다. ✅ 1. iHerb란?미국 기반의 글로벌 쇼핑몰한국어 UI 제공해외직구/구매대행에 많이 활용됨실시간 환율, 자동 할인, 추천인 코드 등 다양한 마케팅 요소 보유 ✅ 2. 회원가입 및 기본 설정iHerb 접속 후 상단 '로그인/가입' 클릭이메일, 비밀번호 입력 → 간편 가입배송 국가: '대한민국'통화: USD (환율 계산 시 더 정확함)✔️ 참고: 추천인 코드 입..

해외구매대행 2025.07.16

GitHub Actions 완전 기초! 자동화부터 배포까지 한눈에 배우기

코드를 푸시했을 때 자동으로 테스트가 실행되고,코드 리뷰 후 자동으로 배포까지 된다면…?그걸 가능하게 해주는 도구가 바로 GitHub Actions입니다!이번 글에서는GitHub Actions가 무엇인지초보자가 바로 써볼 수 있는 실습 예제기본 구조와 자주 쓰는 활용법을 한 번에 정리해보겠습니다 😊 ✅ GitHub Actions란?GitHub 저장소에서 CI/CD 자동화를 가능하게 해주는 기능입니다.코드가 푸시되었을 때, PR이 열렸을 때, 매일 정해진 시간에 등 다양한 트리거로자동으로 테스트, 빌드, 배포, 알림 등을 처리할 수 있어요. 🧱 GitHub Actions 구조 이해하기Workflow하나의 자동화 작업 전체를 정의하는 단위.github/workflows 폴더에 .yml 파일로 저장됨주요 ..

Git 2025.07.15

Git rebase, 이렇게 이해하면 쉽다! merge와의 차이점과 시각적 흐름 정리

Git을 쓰다 보면 merge는 익숙한데,rebase는 뭔가 무섭고 어렵게 느껴지죠?하지만 rebase를 제대로 알면더 깔끔하고 일직선 같은 Git 히스토리를 만들 수 있습니다.이번 글에서는 rebase의 개념부터 실습 예제,그리고 merge와 비교한 시각적 흐름도까지 함께 정리해보겠습니다. ✅ 기본 개념 정리: merge vs rebase항목 merge rebase 히스토리브랜치 흐름을 보존히스토리를 재작성커밋 기록병합 커밋(merge commit) 생성병합 커밋 없이 재배치사용 용도협업 히스토리 보존깔끔한 커밋 라인 유지협업 안정성안정적신중히 사용해야 함 1️⃣ 실전 예제 흐름git checkout featuregit rebase main 위 명령어의 뜻은:“feature 브랜치의 커밋들을, mai..

Git 2025.07.14

Git 실수했을 때 되돌리는 법! reset, revert, stash 차이와 사용법 완전 정리

Git으로 작업하다 보면 한 번쯤은 이런 생각을 하게 됩니다:“아... 이전 상태로 돌리고 싶다...”“방금 커밋 잘못한 것 같은데?”“코드는 지우고 싶은데, 나중에 다시 보고 싶다…”이럴 때 사용하는 명령어들이 바로git reset, git revert, git stash 입니다!이번 포스팅에서는 각 명령어의 차이점, 사용 시점, 주의할 점까지 예제를 통해 깔끔하게 정리해드리겠습니다. 🧯 1. git reset - 커밋을 과거로 되돌리기 (히스토리 변경)git reset --hard [커밋 해시]특정 시점으로 되돌리고, 그 이후의 커밋은 모두 제거--soft: 커밋만 되돌림 (파일은 그대로)--mixed: 인덱스까지 초기화--hard: 모든 파일 상태까지 초기화 (주의! 되돌릴 수 없음)✅ 언제 쓰나..

Git 2025.07.13

Git 협업, 브랜치 전략이 중요하다! Git Flow vs GitHub Flow 쉽게 비교하기

혼자 코딩할 때는 main 브랜치 하나로도 충분합니다.하지만 여러 명이 함께 개발한다면, 브랜치를 어떻게 나눌지 전략이 정말 중요해져요.이번 글에서는 대표적인 두 가지 협업 브랜치 전략👉 Git Flow👉 GitHub Flow를 예시와 함께 비교해보겠습니다. ✅ 브랜치 전략이란?브랜치 전략은 팀원들이 어떤 기준으로 브랜치를 만들고, 병합하고, 배포할지 정해두는 개발 룰입니다.잘 정리된 전략은 개발 흐름을 명확하게 만들어주고충돌, 꼬임, 실수 배포를 줄여줍니다. 🧭 전략 1. Git FlowGit Flow는 기능, 릴리즈, 핫픽스를 명확히 구분하는 전통적인 워크플로우입니다.복잡하지만 대규모 프로젝트에서 안정성을 높이기 좋습니다.🧩 브랜치 구성브랜치역할main최종 배포 버전develop개발 버전fea..

Git 2025.07.12

React + Tailwind로 로그인 폼 만들기 실습! 반응형 UI를 쉽게 만드는 방법

디자인이 깔끔한 로그인 페이지를 만들고 싶은데 CSS가 너무 어렵다고 느끼셨다면,이번 포스팅이 딱입니다!Tailwind CSS를 활용하면 복잡한 CSS 없이도 빠르게 예쁜 UI를 만들 수 있어요.이번에는 React + Tailwind 조합으로 로그인 폼을 직접 만드는 실습을 함께 해보겠습니다. ✅ 사전 준비1. React 프로젝트 생성npx create-react-app login-formcd login-form2. Tailwind 설치 및 설정npm install -D tailwindcss postcss autoprefixernpx tailwindcss init -p tailwind.config.js 수정:content: ["./src/**/*.{js,jsx,ts,tsx}"] src/index.css ..

React, Vue 2025.07.11

지저분한 컴포넌트, 이렇게 바꿔보세요! React 리팩토링 꿀팁 정리

React로 프로젝트를 만들다 보면 점점 커지는 컴포넌트,복붙으로 뒤죽박죽 된 코드들...관리하기도 힘들고, 다른 사람이 보기에도 난감한 구조가 되기 쉽습니다.이럴 때 필요한 게 바로 **‘리팩토링(Refactoring)’**입니다!이번 포스팅에서는 실무에서도 자주 쓰는 컴포넌트 리팩토링 꿀팁 5가지를 예제와 함께 소개해드리겠습니다. ✅ 꿀팁 1. UI 쪼개기 (컴포넌트 분리)하나의 컴포넌트에 300줄… 이건 절대 안 됩니다 😱UI 단위로 잘라서 컴포넌트를 쪼개면 관리도 쉬워지고 재사용도 가능해집니다.💡 Beforefunction Profile() { return ( 이름 설명 팔로우 );}💡 After function Profile() { ..

React, Vue 2025.07.10

Props vs Context API? 차이와 흐름도, 예제로 완벽하게 이해하기

React 컴포넌트끼리 데이터를 주고받는 기본 방식은 props입니다.하지만 props를 너무 많이 전달하면 코드가 복잡해지기 쉬워요.이럴 때 등장하는 구조가 바로 Context API입니다.이 포스팅에서는 props와 Context가 어떤 차이가 있고언제 어떤 걸 쓰는 게 좋은지 흐름도와 예제 중심으로 이해하기 쉽게 알려드릴게요. ✅ 기본 개념 요약항목 Props Context API 목적부모 → 자식 데이터 전달전역 상태 공유사용 대상단일/소수의 컴포넌트여러 컴포넌트 간 데이터 공유단점중첩이 깊으면 props drilling 발생구조 파악이 어려워질 수 있음장점명시적인 데이터 전달전역 접근 가능, props 생략 가능 1️⃣ Props로 상태 전달하는 기본 예제function Parent() { ..

React, Vue 2025.07.0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