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프론트엔드개발 2

Git ✅ 협업에서 자주 쓰는 rebase, cherry-pick, stash

팀 프로젝트에서 Git을 쓰다 보면 단순히 merge만으로는 부족한 경우가 많습니다.충돌 해결, 특정 커밋만 반영, 임시 저장 등 다양한 상황에서 Git 고급 명령어를 활용해야 원활한 협업이 가능합니다.이번 포스팅에서는 대표적인 rebase, cherry-pick, stash를 중심으로 정리합니다.🧠 1. git rebase브랜치의 기반(base)을 다른 브랜치로 옮겨주는 명령어📌 예시: feature 브랜치를 최신 main으로 정리하기 git checkout feature/logingit rebase mainfeature 브랜치의 커밋이 main 브랜치 뒤로 이어붙여짐히스토리가 깔끔해짐 (merge 커밋 불필요)⚠️ 주의이미 푸시한 브랜치를 rebase하면 충돌 위험 → 협업 중에는 조심!로컬에서 ..

Git 2025.10.20

Git 브랜치 전략 완벽 비교! Git Flow vs GitHub Flow 어떤 걸 선택해야 할까?

Git은 매우 유연한 버전 관리 시스템입니다.하지만 프로젝트가 커질수록 브랜치를 아무렇게나 사용하면 코드가 꼬이고 협업이 어려워지죠.그래서 실무에서는 브랜치 전략을 세워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매우 중요합니다.이번 포스팅에서는 두 가지 대표 전략인 Git Flow와 GitHub Flow를 비교해보겠습니다.🌳 1. Git Flow란?Vincent Driessen이 제안한 전략으로, 복잡한 릴리즈 관리에 적합합니다.브랜치 구조가 체계적이며 릴리즈 주기가 긴 기업형 프로젝트에서 자주 사용됩니다.📁 주요 브랜치 구조master : 실제 배포되는 코드 (Read-only)develop : 개발 브랜치, 기능 병합의 중심feature/* : 새로운 기능 개발release/* : 릴리즈 준비hotfix/* : ..

Git 2025.10.08
반응형